-
실용음악대학현황
실용음악과가 있는 4년제 대학
호원대학교 실용음악학부 한양대학교 실용음악학과 경희대학교 포스트모던음악과 동덕여자대학교 실용음악과 단국대학교 생활음악과 성신여자대학교 현대실용음악학과 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음악예술학과 경기대학교 전자디지털음악학과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 서울신학대학교 실용음악과 그리스도대학교 기독교실용음악과 청운대학교 실용음악과 백석대학교 실용음악과 평택대학교 실용음악과 한서대학교 실용음악과 나사렛대학교 실용음악과 호서대학교 실용음악전공 계명대학교 생활음악전공 대구예술대학교 실용음악전공 세한대학교 실용음악과 중부대학교 실용음악과 목원대학교 작곡, 재즈학부 배제대학교 실용음악과 관동대학교 실용음악전공 신한대학교 공연예술학과 예원예술대학교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가 있는 3년제 대학
서울예술대학교 실용음악학과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실용음악학부 여주대학교 실용음악과 한양여자대학교 실용음악과 동서울대학교 실용음악과 두원공과대학교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가 있는 2년제 대학
명지전문대학교 실용음악과 백제예술대학교 실용음악과 백석예술대학교 실용음악과 국제예술대학교 실용음악과 재능대학교 실용음악과 김포대학교 공연예술과 수원여자대학교 대중음악과 수원과학대학교 실용음악과 장안대학교 실용음악과 경인여자대학교 실용음악과 백석문화대학교 실용음악학부 한국영상대학교 실용음악과 신안산대학교 생활음악과 경민대학교 실용음악과 국제대학교 K-POP스타전공 경복대학교 실용음악과 충청대학교 실용음악과 성덕대학 실용음악과 계명문화대학 생활음악과 우송정보대학 실용음악과 부산예술문화대학 실용음악과 창원전문대학 실용음악과 주성대학 실용음악과 한국재활복지대학 멀티미디어 음악과 외국에 있는 음악관련 학교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폴리텍 째즈음악과정 영국 런던 뮤직 스쿨 미국 텍사스 음대 미국 뉴욕 맨하탄 음악학교 미국 보스톤 버클리 음대 미국 뉴욕대학교 음악공연 예술학부 미국 캘리포니아 Musicians Institute 미국 보스톤 뉴잉글랜드 음악원 미국 미시건주립대학교 음악과 캐나다 Capilano College 재즈음악과 실용음악과가 있는 고등학교
아현산업정보학교 실용음악과 (위탁제) 서울실용음악학교 실용음악과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과 리라아트고등학교 디지털사운드콘텐츠과 계원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과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과 김천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과 경남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과 경북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과 브니엘국제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 원광정보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과 전주예술고등학교 실용음악과 한국예술고등학교 음악과 실용음악전공 실용음악과가 있는 대학원
경기대학원 디지털 음악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과 컴퓨터음악전공(석사) 국제신학 대학원대학교 실용음악과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동덕여자대학교 특수대학원 공연예술대학원 실용음악과 동국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컴퓨터음악전공(석사, 박사과정) 실용음악과가 있는 교육원
추계예술대학교 평생교육원 음악원 명지대학 사회교육원 실용음악과 숭실대학교 평생교육원 음악원 백석예술학교 교회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서울종합예술원 재즈학과, CCM과 서울공연예술전문학교 실용음악과 신구대학 실용음악과 예음신학교 실용음악과 비전예술신학교 대학별 시험 준비요령
서울예대1 / SEOUL INSTITUTE OF THE ARTS
- 자신의 역량과 음악스타일에 맞는 동시에 비교적 standard한 Portfolio 를 2곡이상 완벽하게 준비 해야 합니다.
- 다양한 빠르기에서의 bounce 와 key change 가 가능한 blues 를 연습해야 하며, 화려함보다는 가능성과 창의성이 드러나는 improvision, patten 과 reharmonization으로 표현 할수 있도록 준비 해야 합니다. 대개의 경우 미리 준비 되어진 기본적인 8beat, 16beat(straight, bounce), latin, swing등의 여러가지drum loop와의 합주 능력 테스트를 실시하며 ,이런경우 입시곡 위주로 준비를 하여 폭넓게 공부하지 못한 학생들은 대처하기 어렵습니다. 얼마나 정확한 연주 였느냐(리듬에 맞는 패턴 연주 였느냐) 보다는 얼마나 몸으로 리듬을 느끼고 있는가가 중요할 것입니다. 본인이 느끼며 연주하지 못한다면 이미 그 연주는 듣는 이들로 하여금 외면 당하고 있음 이겠죠.
- 또한 즉석에서 제시하는 동요나 가요등을 편곡하여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하고, 때로는 주어진 melody(유명한 곡 멜로디:팝,가요,동요**)와 swing blues등을 듣고 악기로 옮겨 연주하는 청음능력테스트(카피와 합주경험이 중요)를 하기도 합니다.
- 교수님들과의 면접에서는 상업광고가 15초라는 짧은 순간으로 모든 것을 승부하듯 짧지만 강하게 자신의 열정적인 이미지를 어필 할수 있어야 하고, 좋아하는 장르와 뮤지션에 대한 제시와 표현이 자연스러울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서울예대2 / SEOUL INSTITUTE OF THE ARTS
- 시창이나 청음같이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는 것은 상관이 없겠지만.. 뜬금없는 질문 갑자기 튀어나오는 경우 절대 당황하지 않아야 한다.
한 친구는 "혹시 랩할줄 아나?" 라는 질문에 열심히 랩을 했다고 한다.
그 친구가 레게머리여서 장난삼아 물어보신 것 같은데.. 당황해서 "저..저..." 했다면 바로 "수고했어요."라고 하셨을 것이다.
무반주에 당차게 랩을 하는 모습에 교수님들께서는 호감을 가지셨는지 좋은 결과가 있었다.
드럼전공시험을 거의 매년 밖에서 들었는데.. 간단한 리프를 틀어주고 거기에 맞춰서 치라는 요구는 이미 유명할 것이고.. 갑자기 교수님들께서 기분이 좋으셨는지;;즉석에서 잼을 했다는 사람도 봤다.
작곡전공의 경우 다른 악기 다룰 줄 아냐는 질문도 간혹 하시는 것 같다.
입시생이 워낙 많으니 길게 시키시지는 않겠지만,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서 자신이 다룰 줄 아는 악기는 조금씩 연습을 해도 좋을 듯. (할 줄 모르는 악기 새로 배울 필요는 없다.능숙히 잘해야 하니까.)
좋아하는 뮤지션 묻는 질문도 가끔 나오는 모양이다.
드물지만 가끔 정말 뜬금없는,예상할 수도 없는 해괴한 질문을 받은 경우도 봤다.
이를테면 낯이 익은데 누구 닮았다는 소리 안 듣냐는 식의. 서울예술대학 시험을 보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태연함인 것 같다. 악보에 여기 가사 스펠링이 틀린 것 같은데. 라는 말씀을 하셨다고 우물쭈물하면 안된다. 워낙 교수님들께서 독특하시기 때문에 갑자기 예상치 못한 말씀을 하실 수도 있는데, 어떤 상황이 닥치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웃으면서 침착하게 잘 넘기면 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완벽하게 실기시험준비를 하는 것이다.
위에 열거된 모든 질문들은 실기시험을 완벽하게 본 사람들에게만 하신 말씀이니까.동아방송대학1 /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 기악팀은 재즈를 위주로 평가합니다. 입시곡이 끝난 후 대부분은 초견(초견으로 코드체인지를 이용해 제시한 리듬으로 임프로비제이션을 하는 것)으로 swing 또는 Bossanova로 연주 해야 합니다.
- 몇가지의 코드 진행를 보며 하는 walking능력테스트(BASS의 경우)도 있을수 있습니다. - 음악의 기초적인 사항(scale이나 chord등)들을 체킹합니다. - 드럼의 경우는 더욱 다양한 리듬을 원합니다. 솔로라인도 라인이지만 그보다 그 장르의 리듬을 얼마나 습득하였는지를 보는 것이 포인트 인듯합니다동아방송대학2 /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 보컬은 시창을 보고 악기전공들은 청음을 본다.
시창문제가 여덞개쯤 있고 입시곡을 다 부르면 시창문제 번호를 불러주신다.
반주자는 보통 도를 쳐준다. 치라고 말해주는 사람 없으니 반주자는 슬쩍 도를 한번 쳐줄것. 정말 쉬운 문제인데 긴장해서 하나도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매우 많다.
도레미 순차적으로 올라가는 것도 놓치는 경우가 다반사인데..지나친 긴장이 독이다.
꽤 어려운 문제도 있지만 그래도 보통 다 할 수 있는 문제들이다. 긴장하지 말 것.절대로 긴장하지 말 것. 재즈곡으로 시험보는 학생들에게는 스캣을 시키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참고하시길..
악기전공들도 그렇게 긴장을 하나보다.
내 친구는 2성을 들려주고 몇도냐고 묻는 질문에 전혀 다른 답을 했다고 한다. 다시 한번 생각해봐요. 그 친구가 실기를 매우 잘해서 교수님들도 안타까우셨나보다.
다시 들려주고 대답할 기회를 주셨는데 거침없이 틀린답을 다시 말했다고 한다.
동아방송대학도 바로 앞 사람의 시험은 볼 수가 있는데,그 친구 바로 뒤에 시험 본 사람이 마침 아는 언니여서 이야기를 전해들었다.
긴장해서 쉬운 음정도 이상하게 들릴 수 있겠지만, 다시 한번 생각해보라고 하면 다시 한번 생각을 하고 대답하기 바란다.동덕여자대학 / DONGDUK WOMEN'S UNIVERSITY
- 실기시험 굉장히 짧게 본다는 소문이 떠도는 학교인데, 의외로 이것저것 시키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스캣을 시켰다는 사람들을 꽤 많이 봤다. 스캣할 자신이 없으면 재즈와 전혀 상관없는 곡을 하고,재즈를 할꺼라면 스캣을 할만큼 준비를 하기 바란다..명지대 & 단국대 / MYONHJI & DANKOOK UNIVERSITY
- 자유곡, 또는 미리 제시 되었던 입시곡에 비중을 둔 테스트 - 시험곡 이외에 주어지는 요구사항은 거의 없으며, 실기 외에 내신이나 수능이 합격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경희대학 / KYUNGHEE UNIVERSITY
오래 듣는 게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겠지만 어쨌든 실기곡을 가장 오래 듣는 학교.
그래서 별다른 요구사항이 가장 적은 편인 학교이다.
다만 악기전공들은 솔로를 가끔 시키는 것 같으니 준비를 하면 좋을 것 같다.
참고로 주임교수님께서 찰리파커를 매우 좋아하신다.그 분위기로 가면 예뻐하실 듯.
보컬전공은 마찬가지로 재즈를 준비한 학생들에게는 스캣을 시키신다. 그리고 기존의 곡을 그대로 카피한 학생보다 뭔가 자신의 것으로 만든 것을 좋아하는 학교인듯.
우리 학번 여자보컬 정시 합격생 3명의 경우-
나는 팝송 입시곡의 경우 코드만 그대로 두고 멜로디를 바꿔서 불렀었고, 다른 친구는 비틀즈의 let it be를 락버전으로 불렀다.
또 다른 언니는 입시곡으로 선택받는 일이 거의 없는 자우림의 곡위에 스캣을 했다. 남들이 다 할 수 있는 것이 아닌,뭔가 자신만이 보여줄 수 있는 것을 준비하면 유리하다.졸업 후의 진로
- 음악대학 실용음악과 교수
- 초등학교 특기적성 음악 실기지도 교사
- 재즈전문연주인, 라이브전문 세션, 스튜디오 세션
- 싱어송라이터
- 가이드녹음
- 코러스참여
- 뮤지컬스텝
- 뮤지컬 보컬코치
- 대중음악 작곡가, 작사가, 편곡가
- 실용음악 평론가
- 영화음악감독
- 드라마음악, 영화음악, 애니메이션 전문 음악가
- 음악담당 컴퓨터음악 프로그래머, 실용음악 프로그래머
- 음향기술직, 녹음실 레코딩엔지니어
- 광고음악 작곡가, 광고음악감독
- 방송음악전문 프로듀서, 방송구성작가
- 음반 기획자나 음반회사의 프로듀서
- 음악관련 이벤트 기획사 취업
- 음악 전문 출판사경영, 취직
- 음악관련 기업형 교육기관 취업
- 실용음악 입시전문학원 강사 취업수강과목추천
전공 추천과목 재즈피아노 전공실기 기초이론 재즈화성 실용작곡 카피트레이닝 청음 합주 보컬 전공실기 기초이론 재즈화성 재즈피아노(반주) 시창 합주 일렉기타 전공실기 기초이론 재즈화성 합주 베이스기타 전공실기 기초이론 재즈화성 합주 드럼 전공실기 기초이론 재즈화성 합주 색소폰 전공실기 기초이론 재즈화성 합주 대중음악작곡 재즈피아노 이론 재즈화성 실용작곡 카피트레이닝 청음 합주 미디 프로그램의 이해 이론 편곡 재즈피아노 카피트레이닝 청음